청년 도약계좌 신청방법
과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현재 1억을 모을 수 있다는 이야기에 청년들의 관심이 무척 많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근로 사업소득이 있는 만19~34세 청년이 매달 70만원 하나도 내에서 저축하면 금액에 따라 월10~40만원을 더해주는 것입니다.
10년 만기시에 1억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무조건 신청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이 차아가 납니다.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월 납입액은 최대 30만원. 정부로부터 월 최대 40만원 지원
- 연소득 2400만원 초과 ~ 3600만원 이하 : 월 납입액은 최대 50만원. 정부로부터 월 최대 20만원 지원
- 연소득 3600만원 초과 : 월 납입액은 최대 60만원. 정부로부터 월 최대 10만원 지원
- 연소득 48000만원 초과 : 월 납입액은 최대 70만원. 정부로부터 지원되는 금액은 없지만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짐
[청년도약계좌 1억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이유]
바로 월 70만원씩 연3.5% 복리로 10년동안 납입하면 1억원이 모아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연소득 2400만원 이하 청년에게 해당하는 청년도약계좌 혜택입니다. 혜택은 위에 명시한 것처럼 소득마다 금액이 달라지니 꼭 알아두세요^^
지원대상
지원대상 :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 주의할점
아쉽게도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바로 중복 가입 불가한 것입니다. 만약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싶다면 청년희망적금 중도 혜지를 하셔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차이점
청년희망적금은 청년 290만명이 가입했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가입 당시에 청년들 사이에서 수혜 대상에 대한 불평등 논란이 많았습니다.
이렇게 인기가 많은 청년희망적금은 2년동안 최대 45만 6000원의 혜택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요즘 은행 금리에 비하면 엄청 큰 혜택입니다. 무려 이율이 10%가 되었으니까요
하지만 청년희망적금보다 청년도약계좌 혜택은 엄청납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는 월70만원까지 10년동안 납입하면 5754만원의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청년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청년도약계좌 특징 요약
청년도약계좌
- 지원 연령 기준 : 1987 ~ 2003년생(올해 기준 만19~34세)
- 지원 대상 소득 기준 : 근로/사업소득이 있어야 함
- 정부 지원 기준 : 소득에 따라 다름
- 총 정부 지원액 : 소득 2400 ~ 3600만원 시 10년간 2400만원
- 청년도약계좌 상품운용 :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선택 가능